앞서 작성하였던 9가지 변수를 이제 사용할 차례이다.
다시 복기하자면..
byte(1 byte) < short (2 byte) < int (4 byte) < Long (8 byte) < float (4 byte) < double (8 byte) 순서이고
그 외에 boolean (true or false 구분), Char (2 byte), String (문자열) 이렇게 총 9가지 이다.
변수를 선언해보자
가장 기본적인 int로 변수의 선언을 해보겠다.
int age, Age, aGe 세가지를 각각 20, 21, 22로 받고 ; 세미콜론으로 변수를 선언하였다.
아래 System.out.println을 통해 출력을 해보았으며 아래와 같이 콘솔창에 출력이 되었다.
다른 타입으로도 변수를 선언해보자!
byte(1) -128 ~ +127
short(2) -32768 ~ +32767
int(4) -2147483648 ~ +2147483647
long(8) -92233...
byte, short, int, long이 각각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의 크기를 써놓았으며 출력은 long d의 값만 콘솔에 출력하였다.
2진수(Binary), 8진수(Octal), 16진수(Hexadecimal) 또한 콘솔창에 나타낼 수 있도록 변수를 선언 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.
다음은 실수형 변수를 선언해보도록 하겠다.
'java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일문자 변수 char, 문자열 String (0) | 2021.02.24 |
---|---|
변수의 선언(실수형)과 e표기법 (0) | 2021.02.24 |
정수, 실수 그리고 2진수, 10진수 (0) | 2021.02.20 |
java 출력문_sysout (0) | 2021.02.19 |
java의 변수 데이터 타입 (0) | 2021.02.18 |
댓글